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시기는 언제일까?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시기

유산소 운동은 가벼운 산책이나 달리기, 자전거 등 어디서든 마음만 있다면 진행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는 체내 불필요한 지방을 연소시키고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복에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후 유산소 운동, 식사 이후 유산소 운동 등 사람마다 유산소 운동을 하는 시기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스케줄에 따라 운동 시간이 다르겠지만 실제 효과도 다를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을 진행하는 시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목적에 따른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시기를 소개하겠습니다.

식사 후 유산소

식사 후 유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을 진행하기 전 식사를 했다면 최소 2시간 이후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후 이른 시간에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제대로 소화가 되지 않아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구토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소화 측면이 아니더라도 혈류가 위장 쪽으로 쏠리며 옆구리가 결리는 증상이나 다리에 쥐가 나는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후 이른 시간에 유산소 운동을 한다면 가벼운 저강도 걷기 운동 정도만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근력 운동 후 유산소

근력 운동 후 유산소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은 전반적인 심폐지구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적당한 강도로 진행하면 근육 내 글리코겐 보유량을 늘려 무산소 운동 퍼포먼스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 상태가 이미 지쳐있기 때문에 부상 위험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특히 종아리나 정강이 쪽에 쥐가 나거나 허리에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전신 스트레칭과 20분 정도만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복 유산소 운동

공복 유산소 운동

최소 10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에서 진행하는 유산소 운동으로 체내 혈당이 낮아져 지방을 우선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어 다이어트 시 많이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지방을 적절히 태우기 위해 공복에는 걷기보다 가벼운 달리기나 자전거 등의 유산소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힘들다면 바로 쉬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효과가 있지만 주로 혈당이 낮아진 상태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어지럼증이나 현기증 등 관련 증상이 있거나 당뇨 환자는 공복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주로 아침에 진행하기 때문에 부상 위험도 높은 편으로 공복 운동 전후로 충분한 스트레칭 및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